캡 간 내시경 역행 담췌관조영술 결과 비교

블로그

홈페이지홈페이지 / 블로그 / 캡 간 내시경 역행 담췌관조영술 결과 비교

Jan 25, 2024

캡 간 내시경 역행 담췌관조영술 결과 비교

BMC Gastroenterology 23권, 기사 번호: 115(2023) 이 기사 인용 816 액세스 지표 세부 정보 캡 장착 간 결과를 직접 비교한 ​​이전 연구는 없습니다.

BMC Gastroenterology 23권, 기사 번호: 115(2023) 이 기사 인용

816 액세스

측정항목 세부정보

캡 장착 전방 관찰과 측면 관찰 내시경(SE) 간의 결과를 직접 비교한 ​​이전 연구는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ERCP를 시행한 Billroth II 해부체 환자를 대상으로 측면 관찰 그룹과 캡 장착 전방 관찰 내시경(CE) 그룹 간의 기술적 성공률과 부작용 발생률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2004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ERCP를 시행한 Billroth II 재건술을 이용한 위부분절제술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환자들은 CE군과 SE군으로 나누어졌다. 선택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분석을 실시하였다.

성향 점수 매칭을 통해 추가 분석을 위해 55개의 일치 쌍이 생성되었습니다. 환자의 특성은 일치하는 코호트에서 비슷했습니다. 선택적 담관 삽입술의 최종 성공률은 SE군과 CE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98.2% vs. 94.5%, p=0.308). CBD 결석의 완전한 CBD 결석 제거율과 악성 담도 폐쇄의 성공적인 담도 배수율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전체 ERCP 관련 이상사례 발생률은 CE군에서 SE군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0.9% vs. 7.3%, p=0.507). 이상반응 중 ERCP 후 췌장염 발생률은 SE군에 비해 CE군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10.9% vs. 5.5%, p=0.297).

결론적으로 CE는 Billroth II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의 ERCP에 대해 SE와 동일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CE로 시행할 경우 ERCP 후 합병증, 특히 췌장염이 발생하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동료 검토 보고서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은 췌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도구이며, ERCP와 관련된 부작용의 위험성 때문에 주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됩니다[1]. ERCP와 관련된 절차적 성공률과 부작용의 비율은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와 수술적으로 해부학적 구조가 변경된 환자 간에 다를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 구조가 외과적으로 변형된 환자의 ERCP에는 변형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지식, 적절한 유형의 내시경 사용, 내시경에 맞는 부속품 준비 및 내시경 의사의 기술이 필요합니다[2, 3].

ERCP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외과적 변형 해부학에는 Billroth I 수술, Billroth II 수술, Roux-en-Y 위절제술, Roux-en-Y 식도공장 문합술을 사용한 위전절제술, Whipple 수술, 유문 보존 췌장십이지장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가 포함됩니다. ERCP에서 접하게 되는 외과적 변형 해부학 중 Billroth II는 위암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국내에서 가장 흔히 접하게 되는 외과 변형 해부학 중 하나입니다. Billroth II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에게 ERCP를 수행할 때 극복해야 할 몇 가지 장애물이 있습니다. 구심성 루프의 각도와 길이로 인해 방해될 수 있는 구심성 루프 삽관; 역전된 주요 십이지장 유두의 삽입술; 역방향으로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한다[4]. 정상적인 해부학에서는 측면 관찰 내시경(SE)이 주로 ERCP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수술적으로 변형된 해부학적 구조에서는 SE를 포함한 다양한 내시경이나 기존 식도위십이지장경, 대장내시경, 단일 풍선 및 이중 풍선 대장경과 같은 전방 내시경을 사용하여 ERCP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5]. 현재 Billroth II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의 ERCP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은 기존 SE와 캡 장착 전방 내시경(CE)입니다. 이전 연구에서 Billroth II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의 구심성 루프 삽관 성공률은 SE에서 68~100%, CE에서 91.3~100%로 보고되었으며[6,7,8,9,10], 성공적인 담관 삽입술이 이루어졌습니다. SE에서는 77.8~100%, CE에서는 92.3~100%로 보고되었습니다[8, 9, 11,12,13,14]. 그러나 Billroth II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환자의 ERCP 결과에 대한 대부분의 이전 연구에서는 단일 내시경(CE 또는 SE)의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CE와 SE 간의 결과를 직접 비교한 ​​이전 연구는 없습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였으나 SE군과 CE군 간 ERCP의 임상적 결과를 Billroth II 해부학적 구조와 비교한 최초의 연구이다.

 18 years, (2) naïve papilla, (3) biliary diseases that required ERCP, and (5) ERCP using either SE or CE. The ex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previous history of ERCP, (2) Braun anastomosis, and (3) pancreatic disease requiring ERCP. Demographic data (age, sex, height, weight, and comorbidities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cerebrovascular accident, and chronic kidney disease), laboratory findings at admission (white blood cell count, c-reactive protein, total bilirub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alkaline phosphatase (ALP), albumin, and creatinine), ERCP findings (presence of periampullary diverticula and gallbladder stone, performance of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EPBD), needle knife fistulotomy (NKF), mechanical lithotripsy (ML),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ic drainage (ERPD), and biliary stent placement), an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ERCP (pancreatitis, bleeding, perforation,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rom medical data. All patients provided written informed consent before the procedure. Approval of our institutional review board was obtained for this study (YUMC 2022-02-027). All methods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relevant guidelines and regulations./p> three times the upper normal limit. Elevation of serum amylase levels without abdominal pain was defined as post-ERCP hyperamylasemia. Perforation was considered if free air was present in the retroperitoneum or intraperitoneally on the radiograph obtained after ERCP. Post-ERCP bleeding was defined as clinical evidence of bleeding that required intervention or blood transfusion. Patients with newly developed high body temperature and elevated liver function test results after ERCP were diagnosed with cholangitis. Cholecystitis was diagnosed in patients with newly developed right upper quadrant tenderness with thickening of the gallbladder wall on ultrasonography or computed tomography./p>